티스토리 뷰
AIDE 2급 대비 예상 문제 (8차)
1. 다음 중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어려운 점(과제)으로 볼 수 없는 것은?
2. 인공지능 윤리 중, AI 시스템이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고 공정하게 작동해야 한다는 원칙은 무엇인가요?
3.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로, '특징 추출(Feature Engineering)'의 필요성 측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4. 딥러닝의 인공신경망에서 뉴런의 총합이 특정 값을 넘으면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비선형 함수는 무엇인가요?
5. 서로 대립하는 두 개의 신경망(생성자G와 판별자D)이 경쟁적으로 학습하면서 실제와 유사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무엇인가요?
6. 컴퓨터 비전에서 '객체 영역표시(Object Localization)'와 '객체 탐지(Object Detection)'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7. 주어진 텍스트 입력(예: 키워드, 문장 일부)을 기반으로 문장이나 이야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자연어 처리 작업은 무엇인가요?
8. 인공지능 모델 학습 시, 학습 중간에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등에 활용되는 데이터셋은 무엇인가요?
9.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서 '검수자'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10. 텍스트, 음성, 영상 등 특정 데이터에 담긴 화자/문자/행동의 감정(기쁨, 슬픔, 분노 등)을 분류하여 라벨을 부여하는 데이터 라벨링 유형은 무엇인가요?
q2: 2, // 공정성
q3: 1, // 딥러닝은 특징 추출이 필요 없거나 최소화되는 반면, 머신러닝은 수동 특징 추출이 중요하다.
q4: 2, // 활성화 함수 (Activation Function)
q5: 2, //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q6: 1, // 객체 영역표시는 이미지 내 하나의 객체를 탐지하지만, 객체 탐지는 여러 개의 객체를 동시에 탐지한다.
q7: 2, // 문장 생성 (Text Generation)
q8: 1, // 검증데이터셋 (Validation Dataset)
q9: 1, // AI 모델 학습에 사용될 데이터의 최종 품질을 결정하기 때문에
q10: 2 // 감정 태깅 (Emotion Tagging)
'ㅈㄱㅈ > ㅁ ㅑ ㅇ 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DE 2급 대비 예상 문제(10차) (2) | 2025.07.07 |
---|---|
AIDE 2급 대비 예상 문제(9차) (1) | 2025.07.07 |
AIDE 2급 대비 예상 문제 (7차) (0) | 2025.07.07 |
AIDE 2급 대비 예상 문제 (6차) (0) | 2025.07.07 |
AIDE 2급 대비 예상 문제 (5차) (0) | 2025.07.0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페셜티
- MariaDB
- SEQUENCE
- BAT
- JavaScript
- 커피
- LILI COFFEE
- SQL
- 로스터리
- popup
- partition
- diff
- Coffee
- Powershell
- JSP
- table
- date
- 단위변환
- Eclipse
- oracle
- Filter
- handdrip
- db
- backup
- dbeaver
- MySQL
- 리리 커피
- GitHub
- Between
- VB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