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연결 형태 (네트워크 토폴로지): 다양한 연결 방식
네트워크 연결 형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노드)들이 물리적으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식을 의미하며, 이를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성능, 안정성, 비용, 관리 용이성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네트워크 설계 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주요 네트워크 연결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타형 (Star Topology)
    • 특징: 중앙의 허브, 스위치 또는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각 장치들이 1:1로 연결된 형태입니다. 마치 별 모양과 같다고 하여 스타형이라고 불립니다.
    • 장점:
    •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합니다.
    • 특정 장치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장치들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장애 발견 및 분리가 쉽습니다.
    • 중앙 장비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합니다.
    • 단점:
    • 중앙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됩니다.
    • 각 장치마다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하여 케이블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활용: 소규모 네트워크, 사무실 환경 등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2. 버스형 (Bus Topology)
    • 특징: 하나의 긴 통신 회선(버스 케이블)에 여러 장치들이 직접 연결된 형태입니다. 데이터는 이 버스를 따라 한쪽 장치에서 다른 쪽 장치로 전송됩니다.
    • 장점:
    • 구조가 간단하고 케이블 설치 비용이 적게 듭니다.
    • 장치 추가 및 제거가 비교적 용이합니다.
    • 단점:
    • 버스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됩니다.
    • 동시에 여러 장치가 통신을 시도할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질수록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장애 발생 시 문제 지점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활용: 과거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3. 링형 (Ring Topology)
    • 특징: 각 장치들이 양 옆의 장치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원형(링)을 이루는 형태입니다. 데이터는 링을 따라 한 방향으로 순환하며 전송됩니다.
    • 장점:
    • 케이블 길이가 절약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충돌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노드 수가 증가해도 네트워크 성능 저하가 비교적 적습니다.
    • 단점:
    • 네트워크에 장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 링의 어느 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활용: 토큰링(Token Ring)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4. 망형 (Mesh Topology)
    • 특징: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들이 서로 직접 연결된 형태입니다. 완전 망형(Full Mesh)과 부분 망형(Partial Mesh)이 있습니다.
    • 장점:
    •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특정 링크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경로를 통해 통신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 보안에 강합니다.
    • 단점:
    • 구축 비용이 매우 많이 들고 설치 및 관리가 복잡합니다.
    • 많은 수의 케이블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 활용: 기간망(Backbone Network), 중요 서버 연결 등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5. 트리형 (Tree Topology)
    • 특징: 스타형 네트워크들이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나무 가지와 같은 형태를 이룹니다. 중앙 노드 아래에 여러 하위 노드들이 연결되고, 이 하위 노드들 아래에 또 다른 노드들이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 장점:
    • 스타형의 관리 용이성과 버스형의 확장성을 결합한 형태입니다.
    • 네트워크 확장이 용이합니다.
    • 문제 발생 시 해결이 비교적 쉽습니다.
    • 단점:
    • 중앙 노드나 상위 노드에 문제가 발생하면 하위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 계층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활용: 대규모 네트워크, 회사 내부 네트워크 등에서 사용됩니다.
  6. 혼합형 (Hybrid Topology)
    • 특징: 두 가지 이상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조합하여 구성한 형태입니다.
    • 장점:
    • 각 토폴로지의 장점을 활용하여 특정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유연하고 확장성이 좋습니다.
    • 단점:
    • 구조가 복잡하고 설계 및 관리가 어렵습니다.
    •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활용: 실제 대부분의 대규모 네트워크는 여러 토폴로지가 혼합된 형태입니다 (예: 스타-버스형, 스타-링형 등).
      이 외에도 점대점(Point-to-Point) 연결,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등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환경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토폴로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ㅈㄱㅈ > ㄴㅌㅇㅋㄱㄹ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거리 통신망  (0) 2025.04.20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0) 2025.04.20
네트워크 전송방식  (0) 2025.04.20
거리 기반 네트워크  (0) 2025.04.20
네트워크  (0) 2025.04.2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