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당나라(唐朝)의 건국과 멸망

당나라(唐朝)의 건국과 멸망 (618년 ~ 907년)

당나라는 수나라(隋朝)를 이어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통일 왕조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약 300년 동안 지속되며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큰 발전을 이루었고,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화려한 국제적 문화와 개방성이 특징이었으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결국 쇠퇴의 길을 걷게 됩니다.

당나라의 건국

수나라는 대규모 토목공사(대운하 건설 등)와 고구려 원정 실패 등으로 국력을 소진하고 민심을 잃어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당나라가 건국되었습니다.

  • 이연(李淵, 당 고조 唐高祖)의 거병: 수나라 말기, 태원(太原) 유수였던 이연은 아들 이세민(李世民)의 권유와 도움으로 617년에 거병했습니다.
  • 수도 장안(長安) 함락 및 당 건국 (618년): 이연은 이듬해 수도 장안을 점령하고 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제에 즉위하여 당나라를 건국했습니다.
  • 현무문의 변 (玄武門之變, 626년): 건국 과정에서 큰 공을 세운 이세민은 황태자였던 형 이건성(李建成), 동생 이원길(李元吉)과의 권력 다툼 끝에 현무문에서 그들을 제거하고 황태자가 되었습니다. 곧이어 이연은 이세민에게 양위하니, 이가 바로 당 태종(唐太宗)입니다.

당나라의 전성기 ("황금시대")

당 태종부터 현종 초기까지 약 120여 년간 당나라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 문화적 융성을 이루며 황금기를 맞이합니다.

정관의 치 (貞觀之治, 627년 ~ 649년)

당 태종 이세민의 치세로, 중국 역사상 손꼽히는 태평성대 중 하나입니다.

  • 정치: 유능한 인재(위징, 방현령, 두여회 등)를 등용하고 간언을 적극 수용하며 황제권과 신권의 조화를 추구했습니다. 3성 6부제(三省六部制)를 정비하고 과거제(科擧制)를 개선했습니다.
  • 경제: 균전제(均田制), 조용조(租庸調) 세금 제도, 부병제(府兵制)를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고 국가 재정을 확충했습니다.
  • 대외 관계: 돌궐(突厥)을 복속시키고 서역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천가한(天可汗)이라는 칭호를 얻었습니다. 고구려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습니다.

고종(高宗)과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시대

태종의 아들 고종(高宗) 시기에도 당의 발전은 지속되었으나, 후반에는 황후였던 측천무후가 실권을 장악했습니다.

  • 영토 확장: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등 최대의 영토를 확보했습니다.
  • 측천무후(則天武后, 무측천 武則天): 고종 사후, 자신의 아들들(중종, 예종)을 차례로 폐위시키고 690년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주(周, 무주 武周)로 바꾸었습니다.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황제입니다. 능력 위주의 인재 등용과 정치 개혁을 단행했으나, 반대파에 대한 탄압도 있었습니다.

개원의 치 (開元之治, 713년 ~ 741년)

측천무후 사후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고 즉위한 당 현종(唐玄宗) 이융기(李隆基)의 치세 초기는 '개원의 치'라 불리며 당나라 최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 요숭(姚崇), 송경(宋璟) 등 유능한 재상들을 등용하여 정치를 안정시키고 경제를 발전시켰습니다.
  • 문화 예술이 크게 융성하여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같은 위대한 시인들이 활동했습니다.
  • 그러나 현종 말년에 양귀비(楊貴妃)에게 빠져 정사를 소홀히 하고, 이임보(李林甫), 양국충(楊國忠)과 같은 간신들이 전횡하면서 점차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됩니다.

당나라의 쇠퇴와 멸망

화려했던 전성기도 잠시, 현종 말년부터 당나라는 급격한 내우외환에 휩싸이며 쇠퇴하기 시작합니다.

안사의 난 (安史之亂, 755년 ~ 763년) - 결정적 전환점

절도사(節度使)였던 안록산(安祿山)과 그의 부하 사사명(史思明)이 일으킨 대규모 반란입니다.

  • 원인: 현종 말기의 정치 문란, 변방 군사령관인 절도사의 권력 강화, 중앙 정부의 통제력 약화.
  • 경과: 반란군은 한때 수도 장안과 낙양을 함락시키고 현종은 쓰촨으로 피난하는 등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 위구르(回紇) 등의 도움으로 약 8년 만에 진압되었습니다.
  • 결과:
    • 중앙 정부의 권위가 크게 실추되고, 변방의 절도사들이 사실상 독립적인 군벌 세력으로 성장(번진 할거 藩鎭割據).
    • 균전제, 조용조, 부병제가 붕괴되고 양세법(兩稅法)이 시행됨.
    • 사회 혼란과 경제적 타격이 극심하여 당나라 쇠퇴의 결정적인 계기가 됨.

쇠퇴기의 주요 문제점

  • 환관(宦官)의 발호: 황제 근위군인 신책군(神策軍)을 장악한 환관들이 국정을 농단하고 황제 폐립까지 자행했습니다.
  • 붕당 정치(朋黨政治): 관료들이 출신과 정책에 따라 파벌을 이루어 정쟁을 벌였습니다 (예: 우이당쟁 牛李黨爭).
  • 농민 반란의 격화: 과도한 세금과 사회 혼란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피폐해지자 대규모 반란이 빈발했습니다. 그중 황소의 난 (黃巢之亂, 875년 ~ 884년)은 장안을 함락시키고 10여 년간 전국을 휩쓸며 당나라에 치명타를 입혔습니다.

당나라 멸망 (907년)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절도사들의 세력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그중 가장 강력한 세력을 형성한 절도사 주전충(朱全忠, 원래 이름은 주온 朱溫)은 907년, 당 애제(哀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스스로 황제에 즉위하여 후량(後梁)을 건국했습니다. 이로써 당나라는 건국 289년 만에 멸망하고, 중국은 다시 오대십국(五代十國)이라는 혼란의 시대로 접어들게 됩니다.

당나라의 문화와 유산

분야 주요 내용 및 특징
문학 시(詩)가 크게 발달하여 이백(李白), 두보(杜甫), 백거이(白居易) 등 수많은 위대한 시인을 배출. 산문에서는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의 고문운동(古文運動) 전개.
예술 회화(오도현 吳道玄), 서예(안진경 顔眞卿, 구양순 歐陽詢 등), 도자기(당삼채 唐三彩), 조각 등 다방면에서 발전. 돈황 석굴 예술.
종교 및 사상 유교, 불교, 도교가 공존하며 발전. 특히 불교는 현장(玄奘)의 인도 구법 활동 등으로 융성했으나, 회창폐불(會昌廢佛)과 같은 탄압도 겪음. 경교(네스토리우스교),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등 외래 종교도 유입.
국제적 문화 수도 장안은 인구 100만이 넘는 국제 도시로, 실크로드를 통해 동서양의 문물과 사절, 상인들이 활발히 교류. 개방적이고 귀족적인 문화.
제도 율령격식(律令格式)의 법체계, 3성 6부제, 과거제 등은 주변 국가(한국, 일본, 베트남 등)에 큰 영향을 미침.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