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잡다

빵 종류별 차이점

SBP 2025. 6. 2. 10:27
빵 종류별 차이점
빵 종류별 주요 차이점
구분 통곡물빵 (Whole Grain Bread) 곡물빵 (Multigrain Bread) 밀가루빵 (흰빵) (White Bread)
주요 원료 밀의 겨, 배아, 배유를 모두 포함한 통곡물 가루 (예: 통밀가루)를 주 원료로 사용합니다.
  • 100% 통곡물이거나 통곡물 함량이 높은 빵을 지칭합니다.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곡물 (예: 밀, 호밀, 귀리, 보리, 아마씨 등)을 혼합하여 만듭니다.
  • 사용된 곡물이 반드시 통곡물일 필요는 없습니다. 정제된 곡물과 통곡물이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밀의 배유 부분만 정제하여 만든 밀가루를 주 원료로 사용합니다.
  • 밀기울(겨)과 씨눈(배아)이 제거된 상태입니다.
영양 성분
  • 식이섬유가 매우 풍부합니다.
  • 비타민 B군, 철분,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함량이 높습니다.
  • 항산화 물질과 식물성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혈당 지수(GI)가 상대적으로 낮아 혈당을 천천히 올립니다.
  • 사용된 곡물의 종류와 통곡물 함량에 따라 영양가가 크게 달라집니다.
  • 통곡물이 많이 포함될수록 식이섬유와 영양소가 풍부해집니다.
  • 단순히 '멀티그레인'이라는 표시만으로는 통곡물빵보다 영양가가 낮을 수 있습니다.
  • 주로 탄수화물로 구성됩니다.
  • 정제 과정에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대부분이 손실됩니다. (일부 제품은 비타민, 철분 등을 강화하기도 합니다.)
  • 혈당 지수(GI)가 상대적으로 높아 혈당을 빠르게 올릴 수 있습니다.
식감 및 맛
  • 밀도가 높고 다소 거친 식감입니다.
  • 구수하고 깊은 풍미가 특징입니다.
  • 다양한 곡물로 인해 다채로운 식감과 맛을 가집니다.
  • 통곡물빵보다는 부드러울 수 있으며, 첨가된 곡물(씨앗 등)에 따라 씹는 맛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 매우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입니다.
  • 맛이 순하고 단맛이 도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화 및 포만감 식이섬유가 많아 소화가 천천히 되고 포만감이 오래 지속됩니다. 통곡물 함량에 따라 소화 속도와 포만감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흰빵보다는 포만감이 좋은 편입니다. 소화가 빠르고 포만감이 상대적으로 빨리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선택 시 팁 제품 성분표에서 '통밀 100%' 또는 '통곡물'이 주 원료인지, 함량이 높은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멀티그레인'이라는 단어 자체보다는 실제 어떤 곡물이 얼마나 포함되었는지, 통곡물 함량이 높은지 성분표를 확인해야 합니다. 부드러운 식감을 선호하거나 특정 요리에 사용할 때 선택할 수 있으나, 영양적인 측면에서는 다른 빵보다 이점이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