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라클 컬렉션 타입 내장 함수(메소드)
오라클의 컬렉션 타입(VARRAY, 중첩 테이블)에는 데이터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여러 내장 함수(메소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메소드들은 PL/SQL 블록 내에서 변수로 선언된 컬렉션에 사용됩니다.
1. EXTEND: 컬렉션 확장하기
컬렉션의 끝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할 공간을 확보합니다. VARRAY는 선언된 크기를 초과하여 확장할 수 없습니다.
EXTEND: NULL 값을 가지는 요소 하나를 추가합니다.EXTEND(n): NULL 값을 가지는 요소 n개를 추가합니다.EXTEND(n, i): i번째 요소의 값을 복사하여 n개의 요소를 추가합니다.
사용 예시 (중첩 테이블)
DECLARE
TYPE name_list_t IS TABLE OF VARCHAR2(30);
v_names name_list_t := name_list_t('Scott', 'Grace');
BEGIN
-- 요소 하나를 추가할 공간 확보
v_names.EXTEND;
v_names(3) := 'John'; -- 3번째 위치에 값 할당
-- 요소 2개를 추가할 공간 확보
v_names.EXTEND(2);
v_names(4) := 'Ford';
v_names(5) := 'King';
FOR i IN 1..v_names.COUNT LOOP
DBMS_OUTPUT.PUT_LINE(i || ': ' || v_names(i));
END LOOP;
END;
/
결과
1: Scott 2: Grace 3: John 4: Ford 5: King
2. TRIM & DELETE: 요소 제거하기
TRIM은 연속된 공간을 유지하는 반면, DELETE(n)은 특정 위치의 요소만 제거하여 그 자리를 비워둡니다.
TRIM: 컬렉션의 끝에서 요소 하나를 제거합니다.TRIM(n): 컬렉션의 끝에서 요소 n개를 제거합니다.DELETE: 모든 요소를 제거합니다. (메모리 공간은 남아있음)DELETE(n): n번째 인덱스의 요소 하나만 제거합니다. (중간이 비어있는 희소(sparse) 배열이 됨)DELETE(m, n): m번째부터 n번째까지의 요소를 제거합니다.
사용 예시
DECLARE
TYPE num_list_t IS TABLE OF NUMBER;
v_nums num_list_t := num_list_t(10, 20, 30, 40, 50);
BEGIN
-- 끝에서 2개 요소 제거
v_nums.TRIM(2); -- v_nums는 (10, 20, 30)이 됨
-- 2번째 요소 제거
v_nums.DELETE(2); -- v_nums는 1번째(10), 3번째(30) 요소만 남음
DBMS_OUTPUT.PUT_LINE('첫번째 요소: ' || v_nums(1));
-- DBMS_OUTPUT.PUT_LINE(v_nums(2)); -- 오류 발생 (NO_DATA_FOUND)
DBMS_OUTPUT.PUT_LINE('세번째 요소: ' || v_nums(3));
END;
/
3. COUNT, FIRST, LAST, EXISTS: 상태 정보 확인하기
COUNT: 컬렉션에 있는 총 요소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DELETE로 중간 요소를 지워도 개수에는 변함이 없습니다.)EXISTS(n): n번째 인덱스에 요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TRUE또는FALSE를 반환합니다.FIRST: 컬렉션의 첫 번째 인덱스 번호를 반환합니다.LAST: 컬렉션의 마지막 인덱스 번호를 반환합니다.
사용 예시
DECLARE
TYPE num_list_t IS TABLE OF NUMBER;
v_nums num_list_t := num_list_t(10, 20, 30);
BEGIN
v_nums.DELETE(2); -- 2번째 요소 삭제
DBMS_OUTPUT.PUT_LINE('총 요소 개수 (COUNT): ' || v_nums.COUNT);
DBMS_OUTPUT.PUT_LINE('첫 번째 인덱스 (FIRST): ' || v_nums.FIRST);
DBMS_OUTPUT.PUT_LINE('마지막 인덱스 (LAST): ' || v_nums.LAST);
IF v_nums.EXISTS(2) THEN
DBMS_OUTPUT.PUT_LINE('2번 인덱스 존재함');
ELSE
DBMS_OUTPUT.PUT_LINE('2번 인덱스 존재하지 않음');
END IF;
END;
/
결과
총 요소 개수 (COUNT): 3 첫 번째 인덱스 (FIRST): 1 마지막 인덱스 (LAST): 3 2번 인덱스 존재하지 않음
4. PRIOR & NEXT: 인덱스 순회하기
DELETE로 인해 중간이 비어 있는 희소(sparse) 컬렉션을 안전하게 순회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PRIOR(n): n번째 인덱스의 이전 인덱스 번호를 반환합니다. (없으면 NULL)NEXT(n): n번째 인덱스의 다음 인덱스 번호를 반환합니다. (없으면 NULL)
사용 예시
DECLARE
TYPE sal_list_t IS TABLE OF NUMBER;
v_sals sal_list_t := sal_list_t(1000, 2500, 3000, 5000);
v_idx NUMBER;
BEGIN
v_sals.DELETE(2, 3); -- 2, 3번째 요소 삭제 (1000, 5000만 남음)
v_idx := v_sals.FIRST; -- 첫 번째 인덱스(1)부터 시작
WHILE v_idx IS NOT NULL LOOP
DBMS_OUTPUT.PUT_LINE('인덱스 ' || v_idx || '의 값: ' || v_sals(v_idx));
v_idx := v_sals.NEXT(v_idx); -- 다음 존재하는 인덱스로 이동
END LOOP;
END;
/
결과
인덱스 1의 값: 1000 인덱스 4의 값: 5000
'DEV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racle DB 프로시저 글로벌 변수 세션 관리 (0) | 2025.06.13 |
|---|---|
| 오라클 사용자 정의 타입 설명 (0) | 2025.06.11 |
| 오라클 커스텀 타입 (User-Defined Type) (0) | 2025.06.11 |
| Oracle 계층형 쿼리(재귀) 비교: WITH vs CONNECT BY (0) | 2025.06.10 |
| Oracle CONNECT BY Clause (0) | 2025.06.1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Between
- db
- SEQUENCE
- table
- SQL
- 스페셜티
- 커피
- GitHub
- Filter
- diff
- partition
- Coffee
- dbeaver
- JSP
- 리리 커피
- date
- oracle
- BAT
- popup
- 단위변환
- handdrip
- Eclipse
- Powershell
- MariaDB
- MySQL
- JavaScript
- VBS
- 로스터리
- LILI COFFEE
- backup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